※ 2022, 2023년 데이터가 없는 지표의 경우, 2024년 신규 공시 지표입니다.
구분 | 단위 | 2022 | 2023 7) | 2024 | |
전체 임직원 | 명 | 476 | 472 | 485 | |
정규직 | 명 | 430 | 425 | 459 | |
기간제 근로자 | 명 | 46 | 47 | 26 | |
성별 (정규직) | 남성 임직원 | 명 | 362 | 357 | 387 |
여성 임직원 | 명 | 68 | 68 | 72 | |
여성 임직원 비율 | % | 15.8 | 16.0 | 15.7 | |
연령별 (정규직) | 30세 미만 임직원 | 명 | 65 | 66 | 74 |
30세 이상 ~ 50세 이하 임직원 | 명 | 343 | 337 | 366 | |
50세 초과 임직원 | 명 | 22 | 22 | 19 | |
STEM 부서 전체 임직원 | 명 | 160 | |||
STEM 부서 여성 임직원 | 명 | 5 | |||
STEM 부서 내 여성 임직원 비율 | % | 3.1 | |||
매출발생부서 전체 임직원 | 명 | 406 | |||
매출발생부서 여성 임직원 | 명 | 61 | |||
매출발생부서 여성 임직원 비율 | % | 15.0 | |||
지역인재 | 명 | 92 | 106 | 195 |
구분 | 단위 | 2022 | 2023 7) | 2024 | |
임원 | 여성 | 명 | - | - | - |
남성 | 명 | 21 | 25 | 23 | |
여성 임원 비율 | % | 0 | 0 | 0 | |
관리자 (정규직) | 여성 | 명 | 3 | 3 | 3 |
남성 | 명 | 42 | 44 | 44 | |
비관리자 (정규직) | 여성 | 명 | 65 | 65 | 69 |
남성 | 명 | 299 | 288 | 320 | |
전체 관리자 대비 여성 관리자의 비율 | % | 6.7 | 6.4 | 6.4 | |
전체 사회적 소수자 구성원 | 명 | 8 | 9 | 14 | |
장애인 임직원 수 | 명 | 7 | 8 | 6 | |
고령자 (55세 이상) 임직원 수 | 명 | 6 | |||
외국인 근로자 수 | 명 | 1 | 1 | 2 | |
국가보훈자 임직원 수 | 명 | - | - | - | |
장애인 임직원 비율 | % | 1.5 | 1.7 | 1.2 | |
고령자 임직원 비율 | % | 1.2 | |||
외국인 임직원 비율 | % | 0.2 | 0.2 | 0.4 | |
국가보훈자 임직원 비율 | % | - | - | - |
구분 | 단위 | 2022 | 2023 7) | 2024 | |
성별 임금 격차 (정규직) | % | 37.2 | 35.1 | 33.5 | |
남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 (정규직) | 원 | 56,036,816 | 54,919,573 | 58,690,875 | |
여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 (정규직) | 원 | 35,171,101 | 35,667,271 | 39,019,889 |
구분 | 단위 | 2022 | 2023 7) | 2024 | |
출산휴가 | 사용자 | 명 | 0 | 2 | 0 |
업무 복귀자 | 명 | 0 | 2 | 0 | |
업무복귀 비율 | % | 0 | 100 | 0 | |
육아휴직 사용자 | 명 | 9 | 13 | 7 | |
남성 | 명 | 6 | 11 | 6 | |
여성 | 명 | 3 | 2 | 1 | |
육아휴직 복귀율 | % | 55.6 | 84.6 | ||
육아휴직 후 업무 복귀자 | 명 | 4 | 5 | 13 | |
남성 | 명 | 2 | 3 | 10 | |
여성 | 명 | 2 | 2 | 3 | |
직전 연도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무한 임직원 | 명 | 3 | 1 | 3 | |
남성 | 명 | 2 | 1 | 0 | |
여성 | 명 | 1 | 0 | 3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성과평가 받은 임직원 | 명 | 347 | 362 | 363 |
성과평가 받은 임직원 비율 | % | 81 | 85 | 75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신규 채용자 (정규직) | 명 | 99 | 39 | 91 | ||
남성 | 명 | 92 | 38 | 88 | ||
여성 | 명 | 7 | 1 | 3 | ||
30세 미만 신규 채용자 | 명 | 24 | 18 | 40 | ||
30세 이상 ~ 50세 이하 신규 채용자 | 명 | 73 | 20 | 51 | ||
50세 초과 신규 채용자 | 명 | 2 | 1 | 0 | ||
전체 이직자 (정규직) | 명 | 97 | 52 | 68 | ||
자발적 이직자 | 명 | 97 | 52 | 68 | ||
비자발적 이직자 | 명 | - | - | - | ||
이직률 (정규직) | % | 22.6 | 12.2 | 14.8 | ||
자발적 이직률 | % | 22.6 | 12.2 | 14.8 | ||
비자발적 이직률 | % | - | - | - |
구분 | 단위 | 2022 | 2023 7) | 2024 | |
임직원 평균 근속연수 (정규직) | 연 | 6.1 | 7.1 | 7.3 | |
근속 5년 이상 임직원 | 명 | 208 | 207 | 223 | |
전체 임직원 대비 근속 5년 이상 임직원 비율 | % | 44 | 44 | 46 | |
입사 후 12개월 이상 근무한 임직원 | 명 | 82 | 26 | 81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임직원 몰입도 | 몰입직원/조사 응답자 | 0.8 | ||
임직원 몰입도 조사 응답자 | 명 | 69 | ||
임직원 몰입 직원 | 명 | 86 |
구분 | 단위 | 2022 | 2023 7) | 2024 | |
총 복리후생 비용 | 천원 | 583,280 | 625,330 | 695,026 | |
1인당 평균 복리후생 비용 | 천원 | 1,225 | 1,325 | 1,433 | |
선택근무제 사용 임직원 | 명 | 386 | 380 | 405 | |
총 근무시간 (정규직) | 시간 | 891,820 | 881,450 | 872,046 | |
1인당 연간 근로시간 | 시간 | 2,074 | 2,074 | 1,900 | |
1인당 일평균 근로시간 | 시간 | 8 | 8 | 8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직무교육 1) | 교육 수료시간 | 시간 | 690 | 3,199 | 1,541 |
교육인원 | 명 | 49 | 295 | 211 | |
임직원 1인당 교육시간 | 시간/명 | 14.08 | 10.84 | 7.30 | |
교육비 | 원 | 12,753,000 | 38,803,000 | 10,320,000 | |
임직원 1인당 교육비 | 원/명 | 260,265 | 131,536 | 21,061 | |
임직원 교육 참여비율 | % | 10.3 | 62.5 | 43.0 | |
성희롱예방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476 | 469 | 463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476 | 469 | 463 | |
교육 참여비율 | % | 100 | 99.4 | 95.5 | |
장애인인식개선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476 | 469 | 463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476 | 469 | 463 | |
교육 참여비율 | % | 100 | 99.4 | 95.5 | |
장애인 괴롭힘 방지 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476 | 469 | 463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476 | 469 | 463 | |
교육 참여비율 | % | 100 | 99.4 | 95.5 | |
인권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472 | 469 | 463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472 | 469 | 463 | |
교육 참여비율 | % | 99,2 | 99.4 | 95.5 | |
정보보안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472 | 469 | 463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472 | 469 | 463 | |
교육 참여비율 | % | 99,2 | 99.4 | 95.5 | |
ESG/윤리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472 | 469 | 463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472 | 469 | 463 | |
교육 참여비율 | % | 99,2 | 99.4 | 95.5 | |
안전교육 | 안전교육 시간 | 시간 | 13,915 | 7,139 | |
안전교육 이수 인원 | 명 | 435 | 437 |
1) 직무교육 산정 방식의 변경으로 2022, 2023년 직전연도보고서 상 과거 데이터가 변경되었습니다.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노사협의회 개최 횟수 | 회 | 5 | 5 | 4 | |
인권 관련 제보 2) | 건 | 3 | |||
갑질 제보 건수 | 건 | - | |||
성희롱 제보 건수 | 건 | - | |||
직장 내 괴롭힘 제보 건수 | 건 | - | |||
안전사고 제보 건수 | 건 | 3 | |||
인권 관련 제보 처리 | 건 | 3 | |||
갑질 제보 처리 건수 | 건 | - | |||
성희롱 제보 처리 건수 | 건 | - | |||
직장 내 괴롭힘 제보 처리 건수 | 건 | - | |||
안전사고 제보 처리 건수 | 건 | 3 |
2) 통합제보채널 2024년도 신설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인권영향평가 | 실시 사업장 | 개 | 1 | ||
실시 사업장 비율 | % | 100 | |||
인권영향 실태조사 | 실시 협력사 | 개 | 27 | ||
실시 협력사 비율 | % | 11 | |||
인권실사 | 아동, 강제노동 및 인신매매 발생건수 | 건 | - | ||
협력사 아동, 강제노동 및 인신매매 발생건수 | 건 | - |
구분 | 단위 | 202 | 2023 | 2024 |
시스템의 적용을 받는 임직원 수 | 명 | 476 | 472 | 485 |
시스템의 적용을 받는 임직원 비율 | % | 100 | 100 | 100 |
시스템의 적용을 받는 임직원 외 근로자 수 | 명 | 9 | 9 | 9 |
시스템의 적용을 받는 임직원 외 근로자 비율 | % | 100 | 100 | 100 |
구분 | 단위 | 202 | 2023 | 2024 | 구분 |
안전 | 산업재해율 | % | 0.21 | - | 0.21 |
재해자 | 건 | 1 | - | 1 | |
사망사고 발생 건수 | 건 | - | - | - | |
임직원 근로손실재해율 3)(LTIFR) | 건/백만 시간 | 1.12 | 0 | 1.14 | |
업무 외 질병으로 인한 사망 건수 | 건 | - | - | - | |
업무 외 질병으로 인한 사망 건수 (직원 외) | 건 | - | - | - | |
위험성평가 부적합 도출 건 | 건 | 34 | |||
위험성평가 개선조치 건 | 건 | 34 | |||
보건 | 건강상담자 수 | 명 | 102 | 84 | 99 |
사후관리 | 명 | 102 | 84 | 99 |
3)총근로시간 재산정으로 인해 직전연도보고서 상의 과거 배출량이 수정되었습니다. .LTIFR = (근로손실 부상 건수) X 1,000,000 / 총 근무 시간
구분 | 단위 | 202 | 2023 | 2024 |
사업장 내 도급업체에 실시한 안전교육 총 시간 | 시간 | 16 | ||
사업장 내 도급업체에 실시한 안전교육 총 교육인원 | 명 | 8 |
구분 | 단위 | 202 | 2023 | 2024 |
사회공헌 - 기부금 | 천원 | 300 | 15,250 | 22,250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전체 협력사 | 수 | 246 | |||
행동규범 적용 협력사 수 | 수 | 42 | |||
협력사 행동규범 적용 비율 | % | 17 | |||
핵심 협력사 | 수 | 32 | |||
핵심 협력사 중 행동규범 적용 협력사 수 | 수 | 9 | |||
핵심 협력사 행동규범 적용 비율 | % | 28 | |||
전체 협력사 거래 금액 | 백만원 | 773,383 | |||
일반 협력사 거래금액 | 백만원 | 254,854 | |||
핵심 협력사 거래금액 | 백만원 | 518,529 | |||
일반 협력사 구매 비중 | % | 33 | |||
핵심 협력사 구매 비중 | % | 67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책임있는 광물 사용 인증 제련소 수 | 주석 | 개 | 57 | ||
탄탈륨 | 개 | 32 | |||
텅스텐 | 개 | 33 | |||
금 | 개 | 81 | |||
코발트 | 개 | 41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전체 임직원 | 명 | 5,008 | 4,130 | 3,921 | |
정규직 | 명 | 1,897 | 2,132 | 2,016 | |
기간제 근로자 | 명 | 3,111 | 1,998 | 1,905 | |
성별 4) | 남성 임직원 | 명 | 421 | 490 | 1,264 |
여성 임직원 | 명 | 1,476 | 1,642 | 2,657 | |
여성 임직원 비율 | % | 15.8 | 16.0 | 15.7 | |
연령별 | 30세 미만 임직원 | 명 | 1,424 | ||
30세 이상 ~ 50세 이하 임직원 | 명 | 2,463 | |||
50세 초과 임직원 | 명 | 34 | |||
STEM 부서 전체 임직원 | 명 | 225 | |||
STEM 부서 여성 임직원 | 명 | 94 | |||
STEM 부서 내 여성 임직원 비율 | % | 42 | |||
매출발생부서 전체 임직원 | 명 | 3,696 | |||
매출발생부서 여성 임직원 | 명 | 2,563 | |||
매출발생부서 여성 임직원 비율 | % | 69 |
4) 2022년, 2023년은 정규직 기준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임원 | 여성 | 명 | - | - | - |
남성 | 명 | 2 | 2 | 3 | |
여성 임원 비율 | % | - | - | - | |
관리자 5) | 여성 | 명 | 100 | 85 | 111 |
남성 | 명 | 205 | 259 | 465 | |
비관리자 5) | 여성 | 명 | 1,374 | 1,555 | 2,546 |
남성 | 명 | 216 | 231 | 799 | |
전체 관리자 대비 여성 관리자의 비율 5) | % | 32.6 | 24.6 | 19.2 | |
전체 사회적 소수자 구성원 | 명 | 23 | 23 | 24 | |
장애인 임직원 수 | 명 | - | - | - | |
고령자 (55세 이상) 임직원 수 | 명 | 1 | |||
외국인(주재원) 근로자 수 | 명 | 23 | 23 | 23 | |
국가보훈자 임직원 수 | 명 | - | - | - | |
장애인 임직원 비율 | % | - | - | - | |
고령자 임직원 비율 | % | 0.03 | |||
외국인(주재원) 임직원 비율 | % | 0.5 | 0.6 | 0.5 | |
국가보훈자 임직원 비율 | % | - | - | - |
4) 2022년, 2023년은 정규직 기준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성별 임금 격차 | % | 8.7 | 19.5 | 17.6 | |
남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 | 원 | 12,915,000 | |||
여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 | 원 | 10,641,000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출산휴가 | 사용자 | 명 | 347 | ||
업무 복귀자 | 명 | 320 | |||
업무복귀 비율 | % | 92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성과평가 받은 임직원 | 명 | 686 | 544 | 544 |
성과평가 받은 임직원 비율 | % | 14 | 13 | 14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신규 채용자 | 명 | 1,600 | ||||
(성별) | 남성 | 명 | 696 | |||
여성 | 명 | 904 | ||||
(연령별) | 30세 미만 신규 채용자 | 명 | 1,107 | |||
30세 이상 ~ 50세 이하 신규 채용자 | 명 | 483 | ||||
50세 초과 신규 채용자 | 명 | 5 | ||||
전체 이직자 | 명 | 1,814 | ||||
자발적 이직자 | 명 | 332 | ||||
비자발적 이직자 | 명 | 1,482 | ||||
이직률 | % | 46 | ||||
자발적 이직률 | % | 8 | ||||
비자발적 이직률 | % | 38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임직원 평균 근속연수 | 년 | 4 | ||
근속 5년 이상 임직원 | 명 | 1,413 | ||
전체 임직원 대비 근속 5년 이상 임직원 비율 | % | 36 | ||
입사 후 12개월 이상 근무한 임직원 | 명 | 3,093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임직원 몰입도 | 몰입 직원 / 조사 응답자 | 0.7 | ||
임직원 몰입도 조사 응답자 | 명 | 2,790 | ||
임직원 몰입 직원 | 명 | 3,860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복리후생 비용 | 천원 | 33,247,585,602 | |||
1인당 평균 복리후생 비용 | 천원 | 4,083,000 | |||
총 근무시간 (정규직) | 시간 | 3,943,378 | 4,421,768 | 4,870,656 | |
1인당 연간 근로시간 | 시간 | 2,079 | 2,074 | 2,416 | |
1인당 일평균 근로시간 | 시간 | 8 | 8 | 8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직무교육 | 교육 수료시간 | 시간 | 239,368 | 116,556 | 62,736 |
교육인원 | 명 | 5,008 | 4,130 | 3,921 | |
임직원 1인당 교육시간 | 시간/명 | 22.7 | 17.2 | 16.0 | |
교육비 | 원 | 339,288,877 | 176,932,282 | 483,000,000 | |
임직원 1인당 교육비 | 원/명 | 32,208 | 26,123 | 123,182 | |
임직원 교육 참여비율 | % | 100 | 100 | 100 | |
성희롱예방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5,008 | 4,130 | 3,921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5,008 | 4,130 | 3,921 | |
교육 참여비율 | % | 100 | 100 | 100 | |
장애인인식개선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 | - | -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 | - | - | |
교육 참여비율 | % | - | - | - | |
장애인 괴롭힘 방지 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5,008 | 4,130 | 3,921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5,008 | 4,130 | 3,921 | |
교육 참여비율 | % | 100 | 100 | 100 | |
인권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15,024 | 12,390 | 11,763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5,008 | 4,130 | 3,921 | |
교육 참여비율 | % | 100 | 100 | 100 | |
정보보안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5,008 | 4,130 | 3,921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5,008 | 4,130 | 3,921 | |
교육 참여비율 | % | 100 | 100 | 100 | |
ESG/윤리교육 | 교육시간 | 시간 | 5,008 | 4,130 | 3,921 |
교육참여 임직원 | 명 | 5,008 | 4,130 | 3,921 | |
교육 참여비율 | % | 100 | 100 | 100 | |
안전교육 | 안전교육 시간 | 시간 | 126,568 | 70,332 | 52,884 |
안전교육 이수 인원 | 명 | 12,087 | 6,894 | 5,146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노동조합 | 노동조합 가입 임직원 | 명 | 4,730 | 3,915 | 3,763 |
노동조합 가입 비율 | % | 94.9 | 96.4 | 96.5 | |
단체교섭 협약 횟수 | 회 | 4 | 2 | 2 | |
인권 관련 제보 | 건 | - | - | - | |
갑질 제보 건수 | 건 | - | - | - | |
성희롱 제보 건수 | 건 | - | - | - | |
직장 내 괴롭힘 제보 건수 | 건 | - | - | - | |
안전사고 제보 건수 | 건 | - | - | - | |
인권 관련 제보 처리 | 건 | - | - | - | |
갑질 제보 처리 건수 | 건 | - | - | - | |
성희롱 제보 처리 건수 | 건 | - | - | - | |
직장 내 괴롭힘 제보 처리 건수 | 건 | - | - | - | |
안전사고 제보 처리 건수 | 건 | - | - | -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인권영향평가 | 실시 사업장 | 수 | 1 | 1 | 1 |
실시 사업장 비율 | % | 100 | 100 | 100 | |
인권실사 | 아동, 강제노동 및 인신매매 발생건수 | 수 | - | - | -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
시스템의 적용을 받는 임직원 수 (정규직) | 명 | 1,897 | 2,132 | 2,016 |
시스템의 적용을 받는 임직원 비율 (정규직) | % | 100 | 100 | 100 |
시스템의 적용을 받는 임직원 외 근로자 수 | 명 | 75 | 75 | 75 |
시스템의 적용을 받는 임직원 외 근로자 비율 | % | 100 | 100 | 100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산업재해율 | % | 0.06 | 0.07 | 0.03 |
재해자 | 건 | 3 | 3 | 1 |
사망사고 발생 건수 | 건 | - | - | - |
임직원 근로손실재해율 (LTIFR) | 건/백만 시간 | 0.24 | 0.29 | 0.10 |
업무 외 질병으로 인한 사망 건수 | 건 | - | - | - |
업무 외 질병으로 인한 사망 건수 (직원 외) | 건 | - | - | - |
위험성평가 부적합 도출 건 | 건 | |||
위험성평가 개선조치 건 | 건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사업장 내 도급업체에 실시한 안전교육 총 시간 | 시간 | 288 | 204 | |
사업장 내 도급업체에 실시한 안전교육 총 교육인원 | 명 | 72 | 51 |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주요 사업장 소재 지역에서 지역 공급사로부터의 조달예산 비율 | % | 18 | 22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