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OverviewESG ManagementEnvironmentSocialGovernanceAppendix
CEO MessageMCNEX 소개MCNEX VisionBusiness Overview연구개발연혁Global Network
환경경영기후변화 대응 (TCFD REPORT)환경영향 관리생물다양성
original hero image
Environment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 보호 활동

엠씨넥스 본사는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을 위해 제품 및 포장지에 FSC(Forest Stewardship Council) 인증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FSC 인증이란 불법벌목 등으로 생산된 원자재를 지양하고 산림 관리 협의회의 관리에 의해 지속가능한 숲의 원재료로 만들어진 제품에 인증을 부여합니다. 엠씨넥스 본사는 FSC 인증 기업과 원(부)자재 조달 계약을 체결하여, 일부 제품의 포장지로 사용 중입니다.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원재료 인증 제품의 사용 비율을 증가시켜 글로벌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의 요구에 대응해 나갈 계획입니다.


생물다양성 리스크 평가

엠씨넥스는 자연자본의 손실이 기업 활동과 더 나아가 인류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생물다양성을 비롯한 자연자본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엠씨넥스는 사업 활동 전반에서 수자원 관리, 오염물질 감소, 생물다양성 보전 등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자연자본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엠씨넥스 본사는 자연자본에 대한 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기 위해 TNFD¹⁾에서 제안한 LEAP²⁾ 접근법을 도입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관련 위험 및 기회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자연자본 손실을 최소화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자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행해 나가겠습니다.

1) TNFD : 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 
2) LEAP 접근법 : Locate, Evaluate, Assess, Prepare의 약자로 TNFD에서 제안한 자연자본 관련 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고 공시하기 위한 접근방식


생태학적 민감지역 식별(Locate)

엠씨넥스 본사는 사업장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자연 관련 의존성 및 영향이 높은 지역과 특정 생태계와 연관 있는 지역을 식별하기 위해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국립생태원에서 제공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통계자료집에 따르면, 본사가 위치한 인천 연수구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3종, 2급 14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람사르 습지보호구역³⁾으로 지정된 송도갯벌이 사업장 인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엠씨넥스는 사업장 인근 지역의 생태계, 생물다양성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보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 람사르 습지보호구역 : 람사르협약에 따라 독특한 생물지리학적 특성을 가지거나, 희귀동물 서식지 및 물새 서식지로서의 중요성을 가진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습지

사업장 인근 지역 생물다양성 현황

(출처 : 국립생태원 멸종위기 야생생물 통계자료집)

의존성 및 영향 평가(Evaluate)

자연 관련 의존성과 영향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ENCROE⁴⁾ Tool을 활용하였습니다.


인천 본사의 산업별 의존성 및 영향 평가 결과, 상수도, 정수, 유량 조절, 수자원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의존성을 식별하였으며, 자연에 미치는 영향은 대기 오염물질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의존성 및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집중 관리 영역을 대기, 수자원으로 선정하였습니다.


4) ENCORE : 자연자본금융연합이 개발한 자연 관련 위험에 대한 노출도를 식별하고, 자연에 대한 의존성과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툴






위험 및 기회 평가(Assess)

자연 관련 의존성 및 영향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자연자본 위험 및 기회를 식별하기 위해 WWF Biodiversity Risk Filter Tool을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인천 송도 본사의 생물다양성 리스크는 Medium 수준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생물다양성 리스크



대응 및 공시(Prepare)

평가를 통해 위험도가 높게 나온 생물다양성 요인을 식별하였으며, 이에 대해 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이행할 계획입니다. 나아가 생물다양성 리스크 평가의 대상을 엠씨넥스 VINA까지 확대하여 실시할 계획입니다.

주요 리스크

부정적 영향 저감 조치

관리 방안

GBF2) 목표

수자원 이용가능성

최소화

· 인천 본사의 사업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수는 없습니다.
· 물 절약 캠페인을 통해 사업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 낭비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Target 16

대기 상태

최소화

· 인천 본사에는 대기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배출시설이 없습니다.

Target 11

폭염/열대성 저기압

회피

· 잠재적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여 예상되는 피해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 태풍 등 재연재해에 대해 비상사태 대비 매뉴얼을 제정하여 대비하고 있습니다.

Target 8

오염

복원

· 사업장 인근 지역에 환경정화 활동을 실시하여 사업활동으로 인한 잠재적 오염 피해를 최소화
할 예정입니다.

Target 7

국제적 중요지역

최소화

· 송도갯벌, 시화호 등 사업장 인근 중요 생물다양성 지역을 모니터링하며 매년 리스크 평가를 진
행할 계획입니다.

Target 15

2) GBF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2030년까지 생물다양성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제적 목표

보고서 문의
사이트 문의
본 사이트는 로그블랙 ESG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통해 제작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로그블랙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