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씨넥스 본사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법인차량을 친환경 자동차로 전환해 나가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 기존 운영 중인 가솔린·디젤 차량을 저공해차량 1종·2종 인증을 받은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로 교체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사내 주차장에 전기차 충전소를 5개소 설치하여 임직원들이 친환경 차량으로 통근하기 용이하도록 전기차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024년 친환경 자동차 2대를 추가 구매하여 현재 운용 중인 법인차량 중 친환경 자동차의 비율은 18%입니다.
엠씨넥스는 2050 Net Zero 달성을 위해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해관계자들에게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ESG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2025년 4월 온실가스 제3자 검증을 완료하였습니다. 본 검증은 2019년, 2023년, 2024년 3개년도에 대해 인천 본사와 엠씨넥스 VINA를 조직경계로 선정하여 기업이 직·간접적으로 배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 2)을 측정하였습니다. 이후 글로벌 인증기관 Intertek으로부터 검증을 받았습니다.
엠씨넥스 본사는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 절감 캠페인을 실시하고 모든 임직원에게 참여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효과적인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위해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 42개의 서버를 물리머신 6개 서버로 가상화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약 85%의 전력 사용량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에너지 감축활동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엠씨넥스 VINA는 에너지 절감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사업장 내 형광등 및 가로등을 LED로 교체하고 물탱크의 수도 공급용 펌프 제어기에 인버터를 설치하는 등 에너지 감축 활동을 통해 연간 54,960 kWh의 전력을 감축하였습니다.
서버 가상화를 통한 전력 자원 최적화
엠씨넥스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약 98%가 전력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입니다. 탄소배출량 및 에너지 비용 절감을 위해 2024년 12월 엠씨넥스 본사 건물의 옥상, 휴게장소 등 유휴공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패널은 연간 105MWh의 전력을 생산하며, 연평균 50 tCO2eq를 감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엠씨넥스 VINA 또한 1, 2, 3 공장 모든 시설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구분 | 단위 | 2025년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
재생에너지 사용량 | kwh | 4,170 | 8,540 | 11,291 | 12,087 | 11,311 |
엠씨넥스 본사는 개발 및 개발샘플 공정 과정에서 폐수가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엠씨넥스 VINA에서는 제조 과정에서 폐수가 발생하며,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용수 재생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 중입니다. 2024년 용수 재활용량은 212,219톤, 재활용 비율 58%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엠씨넥스 VINA에서는 분기별로 폐수 배출 수질을 검사하여 법적 농도기준 이하로 배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용수 및 방류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폐수 배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폐수 배출 수질을 검사하고 실시간으로 배출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엠씨넥스는 물 절약 캠페인을 통하여 용수 절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엠씨넥스는 WRI Aqueduct Water Risk Atlas를 활용하여 주요 수자원 관련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번 분석은 인천 본사와 베트남 닌빈 사업장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베트남 닌빈 사업장이 수자원 리스크가 높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베트남 닌빈 사업장은 핵심 제품의 생산을 담당하는 주요 사업장으로, 수자원 리스크를 최우선적으로 관리하며 안정적인 운영을 지속해 나갈 계획입니다. 2024년 CDP Water Security 평가에서 ‘Awareness’ Level을 획득하였습니다.
엠씨넥스 본사는 국내 폐기물 관리법 및 환경부 지침에 따라, 발생한 폐기물을 정확하게 기록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일반폐기물은 지정된 폐기물 처리 업체를 통해 소각 처리하고 있으며, 주로 제품 세척 시 사용되는 세척액에서 발생하는 지정폐기물의 경우 전문 폐기물 처리 업체를 통해 위탁 처리하고 있습니다.
엠씨넥스 본사는 사업활동을 통해 발생한 지정폐기물을 지정된 보관 장소에 보관하고 정기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후 위탁처리 업체를 통해 지정 폐기물을 수거 및 처리하며 이와 관련한 성과는 올바로 시스템을 통해 등록 · 공개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처리 프로세스
엠씨넥스 본사는 EU RoHS, REACH 및 IMDS 등 제품 내 유해물질에 대한 글로벌 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2023년 화학물질안전원에 화학물질 배출량 신고자료를 제출하였으며, 화학물질 배출량이 10톤을 넘지 않게 지속적으로 관리 중입니다. 연구실에서 사용 중인 화학물질은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작성하여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연구실 내에 비치하고 있습니다.
엠씨넥스 MSDS
엠씨넥스 VINA는 대기오염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배출량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법적 기준을 준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엠씨넥스는 생산에 투입되는 원자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자원 사용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지속적으로 R&D에 투자한 결과, CES 2025에서 초슬림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발표하였습니다. 본 모듈은 슬림형 액추에이터(Actuator)와 패키지를 탑재해 기존 제품 대비 두께를 크게 감소시키며, 스마트폰의 경량화 및 원재료 사용 감소 효과를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분해, 제재조 시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모듈화하여 제품을 조립하고 있으며 동일 재질을 사용하도록 설계 시 노력하고 있습니다.
CES 2025
엠씨넥스는 순환경제 촉진을 위해 블랙박스, 골프 거리측정기 등을 런칭한 자사 브랜드 ‘아이클론’의 제품에 재활용 마크를 부착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폐전기전자제품의 회수, 재활용, 재생을 위해 WEEE(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인증 마크를 부착하고 있습니다. 폐전기전자제품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에 대해 외부 기관으로부터 분석 평가를 진행하여 관련 리스크를 사전에 방지하고 있습니다.
재활용 · WEEE 마크
엠씨넥스 본사는 제품의 제조 전 단계와 제조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제품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생산 중인 카메라 모듈 2개 제품에 대한 LCA 평가를 진행하였습니다. 평가는 제품의 제조 전 단계인 원재료 생산단계부터 수송, 제품 제조, 유통 과정까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부품별 공급망 관리 수준에 따라 직접조사와 간접조사를 병행하여 활용하였습니다. 평가 결과, 부품당 1.33 kgCO2-eq, 18.47 kgCO2-eq를 배출함을 확인하였습니다.
엠씨넥스 LCA(Life Cycle Assessment, 제품 전과정 평가)